wony 회원님께서 보내 주신 자료 입니다 아주 좋은 정보네여
* 준비물: 작은 의자, 물통, 석고대패, 커버링 테이프, 마스킹 테이프, 사포(#80, #180, #220, #320, #400, #600, #800, #1000)
* 면적의 크기관계: 상처부위 < 퍼티작업 < 프라서페 < 페인트도색 < 투명도장(10~15cm 더 큼) < 블렌딩시너 (신도색à구도색 방향)
* 세척력 비교: 클린제 > 솔벤트 ≫ 주방세제
1. 깍아내기
A. 녹이 난 부분이나 작업할 부분을 #80 사포로 거칠게 연마하여 깎아낸다.
B. 기존 퍼티 등이 있는 경우 단낮추기 작업이 필요 (경계면 단차 없도록)
C. 퍼티가 잘 붙도록 흠집내기
i. 드러난 철판에는 못 등으로 ‘XXXX’ 형태로 긁어준다.
ii. 깍아낸 부분보다 더 넓게 #180 사포로 긁어준다.
2. 퍼티 작업
A. 아연퍼티: #180 사포로 긁어놓은 곳을 넘지 않도록 퍼티 바른다.
B. 굳히기: 손톱으로 긁었을 때 하얗게 표시되면 굳은 것, 흠집나면 덜 굳은 것
C. 단차 제거 연마: 굳은 후 #220 사용하여 연마, 단차 없도록 주의해서 작업
i. 두꺼워서 많이 갈아내야 할 때는 ‘석고 대패’ 사용
D. 다 마른 후 연마해보면 기공 자국이 보일 수 있으며, 이 경우 ‘동그랗게’ 메꾸고 마지막에 전체를 살짝 긁어준다.
E. 마른 후 #220으로 다시 연마, 최종 #320(없으면 #400)으로 다시 연마
i. 원을 그리면서 고르게 다듬어 준다.
3. 커버링 작업
A. 퍼티가 보이는 부분만 커버링 (퍼티 면적보다 조금 더 넓게)
4. 프라서페 (프라이머+서페이서, 웨이브도장)
A. 퍼티 색이 완전히 보이지 않을 때 까지, 웨이브도장
B. 도장 à 건조 à 도장 à건조 … 퍼티가 안보일 때 까지
C. 방청 + 탄력 + 페인트 부착력 증가의 역할 (퍼티는 석고 같이 물과 페인트를 잘 흡수 하므로 작업 후 반드시 프라서페 작업 해주야함)
D. 퍼티 보이지 않도록 두텁게 칠해주고 건조
E. 프라서페 작업 전까지는 무조건 건식연마, 프라서페 작업 후부터는 습식연마가 가능
5. 연마
A. 충분히 건조 후 커버링 떼어내고 #600으로 단차가 생긴 부분 해소 (경계 생긴 부분 중점적으로)
B. #800 으로 한 번 더, 마무리 (더 넓게)
6. 커버링 작업 (해당 영역 전체 ex. 휀더)
A. 유리(창), 타이어, 휠 등 주의해야…
7. 색상 페인트
A. 도장 à 건조 à 도장 à건조 à 도장 à건조 (약 3~4회)
B. 웨이브 도장, 퍼티(프라서페 부분)가 보이지 않도록 두텁게….
C. 만약 흘러내렸다면 충분히 말린 후 #800 으로 물사포질 연마
D. 완전히 다 마르기 전 클리어로 넘어가야
i. Tip! 커버링 한 비닐 위에 조금 뿌려두면 만져보고 확인 가능
8. 클리어 도장 (3분 후)
A. 클리어는 일자 도장으로!! (다른 도장은 모두 웨이브 도장)
B. 1/3씩 겹치면서 시계초침 속도로 겹치면서 도장
C. (3분 후) 두번째는 첫번째의 1/2 속도로 동일(1/3씩 겹침)하게 진행
9. 블렌딩 시너 처리 (3분 후)
A. 1/3씩 겹쳐서 빨리빨리 도포
B. 너무 많이 뿌리면 시너가 투명칠과 색상칠을 다 녹여 눈물이 흘러내림
C. Tip! 만약 흘러내리더라도 굳을 때 까지 그냥 두면 시너가 날아가면서 대부분의 눈물은 부피가 확 줄어들거나 거의 보이지 않음 그래도 남을 때는 #1000으로 연마 하고 블렌딩 시너 약하게 한 번 더 뿌려줌
D. 커버링 제거 / 1시간 이상 기다린 후 운행 가능
10. 완전건조!
A. 자연건조시 1~2일
B. 건조기 (열풍기) 사용시 빨라짐
i. 5~10분 정도 자연건조 후 활용해야 급격한 증발에 따른 기공 발생 방지
ii. 넓은 면적은 균일하게 처리하기 어려움
C. Tip! KCC 도료 기준으로는 165 에서 15분 정도 걸린다고 되어 있음
11. (완전건조 후) 연마 / 광택작업 / 세차
A. #3000 컴파운드로 거친 표면을 매끄럽게!
B. 그 후 광택제로 처리
C. 왁스(옵션)까지 작업하면 모든 것이 끝 (석유계열 왁스 금지!)